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71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 위기의 극장가에 새 바람 부나

충격적인 발표, 2025년 한국 영화 산업의 빅뱅영화팬들에게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2025년 5월 8일, 롯데그룹과 중앙그룹이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는 발표가 나온 것이다. 오랫동안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3강 구도로 유지되던 한국 극장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순간이었다.이번 합병은 단순한 기업 간의 인수·합병을 넘어 한국 영화 산업 전체에 큰 파장을 일으킬 중대한 사건이다. 롯데컬처웍스(롯데시네마 운영)와 메가박스중앙(메가박스 운영)의 손을 잡는 이 결정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앞으로의 영향에 대해 깊이 들여다보자.왜 합병인가? 코로나 이후 극장가의 위기이번 합병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심각한 침체를 겪고 있는 극장 산업의 현..

Movies/Information 2025.05.09

영화의 기본 30.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와 글로벌 산업: 경계를 넘나드는 영화의 복합적 지형도

내셔널 시네마에서 트랜스내셔널 시네마로전통적으로 영화 연구는 '내셔널 시네마'라는 범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프랑스 영화, 일본 영화, 한국 영화 등 국가를 단위로 영화를 분류하고 각 나라의 영화적 전통과 특징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접근은 영화와 민족 정체성, 국가 문화적 특수성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했다.그러나 1990년대 이후 글로벌화의 가속화, 디지털 기술의 발전, 초국적 자본의 확장과 함께 '국가' 경계를 넘어서는 영화적 실천들이 증가하면서 내셔널 시네마 패러다임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아르준 아파두라이가 주장했듯이, 현대 세계에서 문화적 흐름은 더 이상 특정 영토에 국한되지 않으며, 영화 역시 '탈영토화'된 미디어로 기능한다.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트랜스내..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9. 디지털 시네마와 뉴미디어: 기술 혁명이 재편한 영화 경험의 새로운 지형도

디지털 전환의 역사적 맥락영화는 탄생부터 기술적 발명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19세기 말 셀룰로이드 필름과 영사기의 발명에서 시작된 영화 기술은 이후 음향, 컬러, 와이드스크린, 입체음향 등으로 진화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본격화된 디지털 전환은 이전의 기술적 혁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차원의 변화를 가져왔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닌 영화의 존재론적 변화를 의미한다.최초의 디지털 시각효과는 1973년 '웨스트월드'의 픽셀화된 로봇 시점에서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CGI(Computer Generated Imagery)의 도입은 1990년대 '터미네이터 2'(1991), '쥬라기 공원'(1993)을 통해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아바타'(2009)는..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8. 다큐멘터리 이론: 진실과 재현 사이의 미학적 탐구

다큐멘터리의 정의와 본질다큐멘터리는 '실제 세계의 창조적 처리'라는 존 그리어슨의 정의에서 출발한다. 이 정의는 다큐멘터리가 단순한 현실 기록이 아닌 창조적 해석이 개입된 예술 형식임을 강조한다. 다큐멘터리는 역사적으로 현실과 허구 사이의 경계에서 진동해왔으며, 영화사 초기부터 '사실'을 담아내려는 시도와 함께 발전했다. 다큐멘터리가 추구하는 '진실성'은 단순한 사실 기록을 넘어 사회적·윤리적·미학적 질문들을 포함한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불가능한 약속 대신, 다큐멘터리는 특정 관점과 해석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창을 제공한다.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발전다큐멘터리 영화의 뿌리는 루미에르 형제의 '일상 장면' 기록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의 나누크'(1922)가 진정한 ..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7. 사운드 이론 ②: 영화 음악과 정서

영화 음악의 역할과 중요성영화는 시각과 청각이 결합된 종합 예술이다. 시각적 요소가 전면에 드러나는 반면, 음악과 음향은 종종 '보이지 않는' 요소로서 관객의 의식 아래에서 작용한다. 그러나 음악은 단순한 배경이나 보조적 요소가 아니라, 영화의 내러티브, 정서, 주제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표현 수단이다. 영화 음악은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면서 관객의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고, 인물과 장면의 내적 의미를 드러내며, 영화 전체의 미학적 통일성을 강화한다.영화 음악의 역사는 영화 자체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무성영화 시대부터 음악은 영화 경험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 유성영화의 등장으로 음악과 영상의 관계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현대 영화 음악은 전통적인 오케스트라 스코어에서 전자..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6. 사운드 이론 ①: 다이제틱·논다이제틱 사운드와 음향 몽타주

시각 중심 예술에서 사운드의 혁명적 등장영화는 탄생 초기부터 시각 중심 예술로 인식되었다. 루미에르 형제의 첫 상영회에서 관객들이 열차가 다가오는 모습에 놀라 뛰쳐나갔다는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 초기 영화의 충격과 매력은 움직이는 이미지의 시각적 힘에 있었다. 그러나 1927년 '재즈 싱어'의 등장으로 시작된 유성영화(Talkie)의 시대는 영화라는 매체의 본질과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사운드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적 발전이 아니라, 영화의 미학, 내러티브, 제작 방식, 그리고 관객 경험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한 혁명적 사건이었다.사운드가 영화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은 지 거의 한 세기가 지났지만, 영화 이론과 비평에서 사운드는 여전히 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위치에 있다. 미셸 시옹이 '..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5. 인종·민족성 이론: 블랙 시네마의 정체성, 미학, 서사 전략

블랙 시네마의 개념과 범주블랙 시네마(Black Cinema)는 흑인 감독들이 만든 영화, 흑인 경험을 중심으로 다룬 영화, 흑인 관객을 주요 대상으로 한 영화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 정의는 단순한 인종적 분류를 넘어, 복잡한 역사적·문화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블랙 시네마는 흑인 정체성의 표현, 인종적 불평등에 대한 저항, 기존 영화 언어에 대한 대안적 미학 모색 등 다양한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영화 연구에서 블랙 시네마는 크게 세 가지 흐름으로 분류된다:아프리카 시네마: 아프리카 대륙 국가들의 영화 전통으로, 식민주의 경험과 탈식민 과정, 독립 이후의 국가 건설과 민족 정체성 형성 등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세네갈의 우스만 셈벤, 말리의 술레이만 시세, 부르키..

Movies/Study 2025.05.06

영화의 기본 24. 포스트식민주의 영화 이론: 지배·저항·타자화 서사 분석과 서구 중심주의 비판

포스트식민주의 영화 이론의 등장 배경영화사의 흐름을 살펴보면 할리우드와 유럽 중심의 서구 영화가 국제 영화 담론을 지배해온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서구 중심적 영화 문화에 대한 반성과 비판으로 등장한 포스트식민주의 영화 이론은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1978), 호미 바바의 '문화의 위치'(1994),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1988) 등 포스트식민주의 문학 이론의 영향을 받아 영화 연구 영역으로 확장된 것이다.포스트식민주의 영화 이론의 핵심은 식민 지배를 경험한 국가와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 역사적 기억, 그리고 영화 매체를 통한 탈식민적 실천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식민 지배 이후의 문화적 상황을 다루면..

Movies/Study 2025.05.06

영화의 기본 23. 퀴어 영화 이론: 정체성과 욕망의 시각화를 통한 헤테로노머티브 서사의 해체

영화는 단순히 성적 소수자를 '재현'하는 매체를 넘어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규범 자체를 질문하고 교란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퀴어 영화 이론은 영화가 어떻게 이성애규범성(heteronormativity)을 자연화하거나 도전하는지, 그리고 퀴어한 욕망과 정체성이 어떻게 시각화되거나 억압되는지를 분석한다. 동시에 영화 형식과 관습 자체를 '퀴어링(queering)'하는 대안적 영화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퀴어 영화 이론은 단순히 LGBTQ+ 인물과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를 넘어, 젠더, 섹슈얼리티, 욕망의 복잡성을 탐구하고 이분법적 사고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이론적 실천이다.퀴어 이론의 기본 개념과 영화적 적용퀴어 이론의 등장 배경퀴어 이론은 1990년대 초 테레사 드 로레티스(Teresa de La..

Movies/Study 2025.05.06

영화의 기본 22. 확장된 페미니즘 영화 이론: 교차성과 포스트페미니즘 영화

페미니즘 영화 이론은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변화해왔다. 초기 페미니즘 영화 이론이 여성 이미지와 남성 응시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면, 1990년대 이후에는 더 복잡하고 다층적인 관점으로 확장되었다. 특히 젠더뿐 아니라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 장애, 국적 등 다양한 정체성 범주의 교차성(intersectionality)에 주목하고, 고정된 정체성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퀴어 이론의 관점이 중요해졌다. 또한 2000년대 이후에는 '포스트페미니즘'이라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영화 속 여성성과 주체성이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교차성 이론과 영화 속 다중적 정체성교차성의 개념과 중요성교차성(intersectionality)은 1989년 킴벌리 크..

Movies/Study 2025.05.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