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5/07 5

영화의 기본 30. 트랜스내셔널 시네마와 글로벌 산업: 경계를 넘나드는 영화의 복합적 지형도

내셔널 시네마에서 트랜스내셔널 시네마로전통적으로 영화 연구는 '내셔널 시네마'라는 범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프랑스 영화, 일본 영화, 한국 영화 등 국가를 단위로 영화를 분류하고 각 나라의 영화적 전통과 특징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접근은 영화와 민족 정체성, 국가 문화적 특수성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했다.그러나 1990년대 이후 글로벌화의 가속화, 디지털 기술의 발전, 초국적 자본의 확장과 함께 '국가' 경계를 넘어서는 영화적 실천들이 증가하면서 내셔널 시네마 패러다임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아르준 아파두라이가 주장했듯이, 현대 세계에서 문화적 흐름은 더 이상 특정 영토에 국한되지 않으며, 영화 역시 '탈영토화'된 미디어로 기능한다.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트랜스내..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9. 디지털 시네마와 뉴미디어: 기술 혁명이 재편한 영화 경험의 새로운 지형도

디지털 전환의 역사적 맥락영화는 탄생부터 기술적 발명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19세기 말 셀룰로이드 필름과 영사기의 발명에서 시작된 영화 기술은 이후 음향, 컬러, 와이드스크린, 입체음향 등으로 진화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본격화된 디지털 전환은 이전의 기술적 혁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차원의 변화를 가져왔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닌 영화의 존재론적 변화를 의미한다.최초의 디지털 시각효과는 1973년 '웨스트월드'의 픽셀화된 로봇 시점에서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CGI(Computer Generated Imagery)의 도입은 1990년대 '터미네이터 2'(1991), '쥬라기 공원'(1993)을 통해 이루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아바타'(2009)는..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8. 다큐멘터리 이론: 진실과 재현 사이의 미학적 탐구

다큐멘터리의 정의와 본질다큐멘터리는 '실제 세계의 창조적 처리'라는 존 그리어슨의 정의에서 출발한다. 이 정의는 다큐멘터리가 단순한 현실 기록이 아닌 창조적 해석이 개입된 예술 형식임을 강조한다. 다큐멘터리는 역사적으로 현실과 허구 사이의 경계에서 진동해왔으며, 영화사 초기부터 '사실'을 담아내려는 시도와 함께 발전했다. 다큐멘터리가 추구하는 '진실성'은 단순한 사실 기록을 넘어 사회적·윤리적·미학적 질문들을 포함한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불가능한 약속 대신, 다큐멘터리는 특정 관점과 해석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창을 제공한다.다큐멘터리의 역사적 발전다큐멘터리 영화의 뿌리는 루미에르 형제의 '일상 장면' 기록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의 나누크'(1922)가 진정한 ..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7. 사운드 이론 ②: 영화 음악과 정서

영화 음악의 역할과 중요성영화는 시각과 청각이 결합된 종합 예술이다. 시각적 요소가 전면에 드러나는 반면, 음악과 음향은 종종 '보이지 않는' 요소로서 관객의 의식 아래에서 작용한다. 그러나 음악은 단순한 배경이나 보조적 요소가 아니라, 영화의 내러티브, 정서, 주제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표현 수단이다. 영화 음악은 이미지와 상호작용하면서 관객의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고, 인물과 장면의 내적 의미를 드러내며, 영화 전체의 미학적 통일성을 강화한다.영화 음악의 역사는 영화 자체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다. 무성영화 시대부터 음악은 영화 경험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으며, 유성영화의 등장으로 음악과 영상의 관계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현대 영화 음악은 전통적인 오케스트라 스코어에서 전자..

Movies/Study 2025.05.07

영화의 기본 26. 사운드 이론 ①: 다이제틱·논다이제틱 사운드와 음향 몽타주

시각 중심 예술에서 사운드의 혁명적 등장영화는 탄생 초기부터 시각 중심 예술로 인식되었다. 루미에르 형제의 첫 상영회에서 관객들이 열차가 다가오는 모습에 놀라 뛰쳐나갔다는 일화에서도 알 수 있듯, 초기 영화의 충격과 매력은 움직이는 이미지의 시각적 힘에 있었다. 그러나 1927년 '재즈 싱어'의 등장으로 시작된 유성영화(Talkie)의 시대는 영화라는 매체의 본질과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사운드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적 발전이 아니라, 영화의 미학, 내러티브, 제작 방식, 그리고 관객 경험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한 혁명적 사건이었다.사운드가 영화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은 지 거의 한 세기가 지났지만, 영화 이론과 비평에서 사운드는 여전히 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위치에 있다. 미셸 시옹이 '..

Movies/Study 2025.05.0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