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5/04 5

영화의 기본 15. 오토르 이론 ② : 현대 작가주의 - 1990년대 이후 글로벌 작가주의 흐름과 산업 조건

"나는 상업 영화를 만들고 있지만, 또한 예술 영화를 만들고 있다." 크리스토퍼 놀란의 이 말은 현대 작가주의의 특징을 보여준다. 196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작가주의는 21세기에 이르러 전혀 다른 모습으로 진화했다. 글로벌 영화산업, 디지털 기술, 스트리밍 플랫폼, 프랜차이즈 시스템 속에서 현대의 영화 작가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작가성을 구현하고 있다.1990년대: 인디펜던트 영화의 부상선댄스 세대의 등장1990년대 미국 독립영화계는 새로운 작가들의 출현으로 활기를 띠었다.주요 감독들스티븐 소더버그: (1989)쿠엔틴 타란티노: (1992)리처드 링클레이터: (1991)케빈 스미스: (1994)폴 토마스 앤더슨: (1996)특징저예산 제작개인적 스타일장르의 재해석대화 중심 서사비선형적 ..

Movies/Study 2025.05.04

영화의 기본 14. 오토르 이론 ① : 프랑스 뉴웨이브와 작가주의의 탄생 - 트뤼포의 '정책' 비평과 감독 중심 영화사의 전개

"미래의 영화는 개인적 작업이 될 것이다. 고백의 형태나 일기 같은, 젊은 시인의 첫 시집이나 소설가의 자전적 소설처럼." 프랑수아 트뤼포의 이 예언적 선언은 영화 작가주의(Auteur Theory)의 본질을 요약한다. 195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이 혁명적 개념은 영화를 감독 개인의 창작물로 보는 관점을 확립하며, 영화 비평과 제작의 판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작가주의의 역사적 배경프랑스 전후 영화계의 상황전통적 프랑스 영화(Tradition de Qualité)문학 작품의 각색 중심스튜디오 제작 시스템장인적 기술 강조각본가와 프로듀서 중심대표적 각본가-감독 콤비장 오랑슈-피에르 보스트 & 클로드 오탕-라라샤를 스파크 & 주리앙 뒤비비에앙리 장송 & 마르셀 카르네문제점관습화된 서사 구조안전한 상업주..

Movies/Study 2025.05.04

영화의 기본 13. 리얼리즘 이론 ② : 포멀리즘적 대안 - 스타일리제이션과 추상화가 현실 재현을 확장하는 방식

"예술이 현실의 외피를 보여준다면, 영화는 그 속살까지 드러낼 수 있다." 세르게이 아이젠슈타인의 이 말은 영화가 단순한 현실의 복제가 아니라 더 깊은 진실을 포착할 수 있다는 포멀리즘적 신념을 대변한다. 앙드레 바쟁이 현실의 객관적 기록을 중시했다면, 포멀리스트들은 현실을 재구성하고 변형함으로써 더 본질적인 진실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들에게 영화는 단순한 창문이 아니라 현실을 새롭게 보게 하는 프리즘이었다.리얼리즘과 포멀리즘의 대립 구도근본적 차이점리얼리즘의 입장영화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기록해야 한다기술적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현실의 모호성과 복잡성을 보존해야 한다관객의 능동적 해석을 허용해야 한다포멀리즘의 입장영화는 현실을 창조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기술과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본질..

Movies/Study 2025.05.04

영화의 기본 12. 리얼리즘 이론 ① : 앙드레 바쟁 - 사진적 기원과 영화의 존재론

"현실은 영화를 필요로 한다." 프랑스 영화비평가 앙드레 바쟁의 이 선언은 영화 리얼리즘의 철학적 토대를 요약한다. 바쟁에게 영화는 단순한 오락이나 예술 형식이 아니라, 현실과 인간을 연결하는 존재론적 매개체였다. 그의 이론은 영화가 현실을 어떻게 포착하고 보존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미학적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탐구한다.앙드레 바쟁: 영화 이론의 거장생애와 배경앙드레 바쟁(1918-1958)은 제2차 세계대전 직후 프랑스 영화계의 중심 인물이었다. 원래 교사 지망생이었던 그는 언어 장애로 인해 교직을 포기하고 영화 비평으로 전향했다. 전쟁 중에는 레지스탕스 활동을 하며 영화 클럽을 운영했고, 종전 후에는 프랑스 영화계의 재건에 힘썼다.1951년 자크 도니올-발크로즈, 조셉-마리 로 듀카와 함께 ..

Movies/Study 2025.05.04

영화의 기본 11. 영화는 예술인가? : 루돌프 아른하임의 포멀리즘과 영화-현실-예술의 경계 논쟁

"영화는 예술인가, 아니면 단순한 기계적 복제인가?" 사진이 등장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영화도 탄생 초기부터 이 근본적인 질문에 직면했다. 전통 예술가들은 영화를 '기계가 만든 자동 기록'이라며 폄하했고, 영화인들은 영화만의 예술적 가치를 증명하려 애썼다. 이 논쟁의 중심에서 루돌프 아른하임은 영화의 예술적 지위를 체계적으로 옹호한 최초의 이론가 중 한 명이었다.영화 예술론의 역사적 배경초기의 부정적 시각영화 초기, 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은 영화를 예술로 인정하지 않았다:기계적 복제: 카메라가 자동으로 현실을 기록할 뿐이라는 비판대중 오락: 저급한 구경거리에 불과하다는 시각예술적 창조성 부재: 화가나 조각가처럼 직접 창조하지 않는다는 지적상업적 동기: 돈벌이 수단일 뿐이라는 비난영화의 예술적 지위 추구이..

Movies/Study 2025.05.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