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27 5

영화의 기본 5: 시네마토그래피 ② - 카메라 이동과 포커스의 서사적 힘

움직이는 시선: 카메라 이동의 역학영화는 본질적으로 움직임의 예술이다. 프레임 내 피사체의 움직임뿐 아니라, 카메라 자체의 움직임은 영화만의 고유한 표현 방식으로, 관객의 지각과 정서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강력한 도구다. 카메라 이동은 단순히 '무엇을 보여줄까'가 아니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결정하는 시네마토그래피의 핵심 요소다.기본적인 카메라 이동 유형패닝(Panning) - 카메라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움직임이다. 이는 공간을 탐색하거나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가는 데 자주 사용된다.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모험'(1960)에서 주인공 클라우디아가 화산섬을 탐색하는 장면의 느린 패닝은 공간의 황량함과 인물의 내적 공허함을 동시에 표현한다. 이 길게 이어지는 패닝 샷은 자연 환경의 압도적..

Movies/Study 2025.04.27

영화의 기본 4: 시네마토그래피 ① - 샷 크기와 앵글의 이해

카메라, 영화의 눈영화에서 카메라는 단순한 기록 장치가 아니라 관객의 시선을 대신하는 '영화적 눈'이다. 시네마토그래피는 이 '눈'의 움직임과 시선을 조절하는 예술로, 단순히 무엇을 보여줄지 뿐만 아니라 '어떻게' 보여줄지를 결정한다. 이는 영화라는 매체가 현실을 포착하면서도 동시에 재구성하고 해석하는 방식이다.시네마토그래피의 많은 요소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는 샷 크기(shot size)와 카메라 앵글(camera angle)이다. 이 두 요소는 영화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관객이 영화적 현실을 경험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친다.샷 크기의 문법샷 크기의 기본 유형익스트림 롱 샷(Extreme Long Shot, ELS) - 인물이 환경 속에서 아주 작게 보이는 매우 넓은 샷으로..

Movies/Study 2025.04.27

영화의 기본 3: 미장센 ② - 조명, 색채, 연기의 정서적 파워

빛의 미학: 영화 조명의 세계영화는 본질적으로 '빛'으로 그려내는 예술이다. '포토그래피(Photography)'라는 단어 자체가 '빛(photo)'으로 '그린다(graphy)'는 의미를 담고 있듯, 조명은 단순한 기술적 요소가 아닌 영화의 핵심 표현 수단이다. 조명은 피사체를 물리적으로 보이게 하는 동시에, 영화의 정서와 분위기를 형성하고 서사를 강화하는 정교한 시각적 언어로 기능한다.고전적 할리우드 조명 기법할리우드 황금기에 정립된 '세 지점 조명(Three-point lighting)' 시스템은 영화 조명의 기본 문법이 되었다. 이 시스템은 주광원(key light), 보조광(fill light), 백라이트(back light)의 세 가지 광원을 조합해 인물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주광원(Key Li..

Movies/Study 2025.04.27

영화의 기본 2: 미장센 ① - 화면 구성과 세트 디자인의 영화적 언어

미장센, 영화 표현의 기본 단위'미장센(Mise-en-scène)'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로 '장면 안에 배치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원래 연극에서 사용되던 이 용어는 영화에서 프레임 내에 보이는 모든 시각적 요소의 배치와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영화에서 미장센은 단순한 장식이 아닌, 서사와 주제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핵심 언어다.미장센의 구성 요소는 다양하지만, 이 글에서는 특히 화면 구성과 세트 디자인에 초점을 맞춘다. 이 두 요소는 영화의 시각적 의미 생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 감독의 미학적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도구다.프레임과 화면 구성의 기본 원리프레임의 의미영화에서 '프레임'은 단순한 기술적 제약이 아니라 의미 생성의 핵심 장치다. 프레임은 관객의 시선을 통제하고, 무엇을 보여..

Movies/Study 2025.04.27

영화의 기본 1: 영화의 탄생과 초기 영화 이론 - 루미에르와 멜리에스가 만든 새로운 세계

빛과 그림자의 탄생, 영화라는 기적19세기 말, 인류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발명품 중 하나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바로 '영화'라는 매체였다. 1895년 12월 28일, 파리의 그랑 카페 지하실에서 열린 작은 상영회는 어쩌면 현대 문화의 가장 중요한 분기점 중 하나였다고 볼 수 있다. 루미에르 형제가 자신들의 발명품인 '시네마토그래프'로 상영한 짧은 필름들은 관객들에게 전에 없던 경험을 선사했다.이 날 상영된 '공장을 나서는 노동자들', '아기에게 식사를 주는 장면', '열차의 도착' 같은 단순한 일상 장면들은 그 자체로 혁명적이었다. 특히 '열차의 도착' 필름에서 기차가 스크린을 향해 다가오자 관객들이 비명을 지르며 자리에서 일어났다는 유명한 일화는 영화가 가진 강력한 현실 재현력을 보여주는 상징적..

Movies/Study 2025.04.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