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s/Study

영화의 기본 14. 오토르 이론 ① : 프랑스 뉴웨이브와 작가주의의 탄생 - 트뤼포의 '정책' 비평과 감독 중심 영화사의 전개

표본실 2025. 5. 4. 01:13
반응형

"미래의 영화는 개인적 작업이 될 것이다. 고백의 형태나 일기 같은, 젊은 시인의 첫 시집이나 소설가의 자전적 소설처럼." 프랑수아 트뤼포의 이 예언적 선언은 영화 작가주의(Auteur Theory)의 본질을 요약한다. 195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이 혁명적 개념은 영화를 감독 개인의 창작물로 보는 관점을 확립하며, 영화 비평과 제작의 판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작가주의의 역사적 배경

프랑스 전후 영화계의 상황

전통적 프랑스 영화(Tradition de Qualité)

  • 문학 작품의 각색 중심
  • 스튜디오 제작 시스템
  • 장인적 기술 강조
  • 각본가와 프로듀서 중심

대표적 각본가-감독 콤비

  • 장 오랑슈-피에르 보스트 & 클로드 오탕-라라
  • 샤를 스파크 & 주리앙 뒤비비에
  • 앙리 장송 & 마르셀 카르네

문제점

  • 관습화된 서사 구조
  • 안전한 상업주의
  • 창조적 모험의 부재
  • 개인적 비전의 억압

『카이에 뒤 시네마』와 젊은 비평가들

1951년 앙드레 바쟁, 자크 도니올-발크로즈, 조셉-마리 로 듀카가 창간한 『카이에 뒤 시네마』는 새로운 영화 비평의 중심지가 되었다.

젊은 터키들(Young Turks)

  • 프랑수아 트뤼포
  • 장-뤽 고다르
  • 클로드 샤브롤
  • 에릭 로메르
  • 자크 리베트

이들은 시네마테크 프랑세즈에서 영화를 보며 자랐고, 앙리 랑글루아의 영향 아래 광범위한 영화사 지식을 쌓았다.

"어떤 경향": 트뤼포의 선언문

"프랑스 영화의 어떤 경향"(1954)

트뤼포가 『카이에 뒤 시네마』 31호에 발표한 이 도발적 논문은 프랑스 영화계에 폭탄과 같은 충격을 주었다.

주요 비판 내용

  1. 각본가 중심 제작의 문제점
  2. 문학 각색의 한계
  3. 심리적 리얼리즘의 진부함
  4. 개인적 창작성의 부재

핵심 주장 "진정한 작가는 영화 속에 자신의 비전과 스타일을 각인하는 감독이다."

정책으로서의 비평 (La Politique des Auteurs)

트뤼포의 '작가 정책'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비평적 실천 전략이었다.

정책의 핵심

  • 감독을 영화의 진정한 창작자로 본다
  • 감독의 전체 작품을 일관된 관점에서 평가한다
  • 개인적 스타일과 주제의식을 추적한다
  • 미국 상업영화에서도 작가를 발견한다

옹호한 감독들

  • 앨프리드 히치콕
  • 하워드 혹스
  • 존 포드
  • 오토 프레밍거
  • 니콜라스 레이

작가 개념의 정의

오토르의 조건

작가주의가 제시한 '진정한 작가' 감독의 조건:

1. 기술적 숙련도(Technical Competence)

  • 영화 매체에 대한 완벽한 이해
  • 미장센의 정교한 구축
  • 카메라와 편집의 창의적 활용

2. 개인적 스타일(Personal Style)

  • 반복되는 시각적 문법
  • 특징적인 테마와 모티프
  • 일관된 미학적 선택

3. 내적 의미(Interior Meaning)

  • 작품을 관통하는 세계관
  • 개인적 관심사의 표현
  • 감독의 서명과 같은 특징

미장센의 중요성

작가주의자들은 특히 미장센(mise-en-scène)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장센의 요소

  • 화면 구성과 카메라 움직임
  • 조명과 색채
  • 배우 연출과 동선
  • 세트와 의상

미장센을 통한 작가성 표현

  • 히치콕의 수직적 구도
  • 포드의 프레임 내 프레임
  • 오즈의 정적인 카메라
  • 웰스의 심도 깊은 화면

미국 영화의 재평가

히치콕: 작가주의의 아이콘

트뤼포와 카이에 비평가들은 히치콕을 단순한 서스펜스 장인이 아닌 진정한 작가로 재평가했다.

히치콕의 작가성

  • 관음증과 죄의식의 테마
  • 정교한 시각적 설계
  • 관객 조작의 미학
  • 가톨릭적 죄와 구원의 모티프

트뤼포의 히치콕 인터뷰(1962) 50시간이 넘는 대화를 정리한 『히치콕/트뤼포』는 작가주의 비평의 기념비적 저작이 되었다.

할리우드 장르 감독들의 재발견

하워드 혹스

  • 프로페셔널리즘의 미학
  • 남성적 공동체의 역학
  • 장르를 초월한 일관성

존 포드

  • 미국 신화의 시각화
  • 공동체와 개인의 갈등
  • 풍경의 서사적 활용

니콜라스 레이

  • 반항적 아웃사이더
  • 색채의 감정적 사용
  • 청춘의 불안과 방황

프랑스 뉴웨이브의 실천

비평에서 제작으로

1950년대 말, 카이에 비평가들은 직접 영화 제작에 뛰어들었다.

첫 장편 데뷔작들

  • 샤브롤: <미남 세르주> (1958)
  • 트뤼포: <400번의 구타> (1959)
  • 고다르: <네 멋대로 해라> (1960)
  • 리베트: <파리는 우리의 것> (1961)
  • 로메르: <사자자리> (1962)

누벨바그의 제작 방식

경제적 독립성

  • 저예산 제작
  • 스튜디오 밖 실제 로케이션
  • 소형 장비와 자연광
  • 비전문 배우 기용

창작의 자유

  • 즉흥적 연출
  • 각본 없는 촬영
  • 개인적 이야기
  • 실험적 형식

누벨바그의 미학적 혁신

점프 컷과 불연속 편집

  • 전통적 연속성 규칙 파괴
  • 시간의 생략과 압축
  • 현대적 리듬감 창출

직접 카메라 어드레스

  • 관객과의 직접 소통
  • 메타 영화적 자의식
  • 허구성의 노출

인용과 오마주

  • 영화사에 대한 자의식
  • 장르 관습의 재활용
  • 영화적 레퍼런스

작가주의의 개별 사례

프랑수아 트뤼포

주요 테마

  • 어린이와 청소년
  • 사랑의 불가능성
  • 예술과 삶의 관계
  • 영화에 대한 사랑

스타일적 특징

  • 유려한 카메라 움직임
  • 음악의 서정적 활용
  • 내레이션의 친밀감
  • 자전적 요소

대표작 분석: <쥘과 짐> (1962)

  • 사랑의 삼각관계
  • 보이스오버 내레이션
  • 자유로운 카메라 움직임
  • 시간의 압축과 확장

장-뤽 고다르

주요 테마

  • 영화와 현실의 관계
  • 정치와 개인
  • 언어와 이미지
  • 현대성의 위기

스타일적 특징

  • 단절적 편집
  • 사운드의 실험
  • 텍스트와 이미지의 충돌
  • 에세이적 형식

대표작 분석: <미치광이 피에로> (1965)

  • 장르의 해체
  • 색채의 상징적 사용
  • 브레히트적 소외 효과
  • 문화적 레퍼런스

에릭 로메르

주요 테마

  • 도덕적 딜레마
  • 지적 대화
  • 일상의 철학
  • 계절과 장소

스타일적 특징

  • 고전적 미장센
  • 자연스러운 연기
  • 대화 중심 서사
  • 문학적 구조

대표작 분석: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1969)

  • 도덕적 이야기
  • 실시간 대화
  • 미니멀한 연출
  • 철학적 토론

작가주의의 국제적 확산

앤드류 새리스와 미국 비평

미국 비평가 앤드류 새리스는 1962년 "Notes on the Auteur Theory"를 발표하며 작가주의를 미국에 소개했다.

새리스의 삼중 전제

  1. 기술적 능력
  2. 구별되는 개성
  3. 내적 의미

미국 비평계의 반응

  • 폴린 케일의 비판
  • 작가주의 논쟁
  • 할리우드 재평가

영국과 이탈리아

영국 프리 시네마

  • 린지 앤더슨
  • 카렐 라이즈
  • 토니 리처드슨

이탈리아 작가들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페데리코 펠리니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아시아 영화의 작가들

일본

  • 오즈 야스지로
  • 미조구치 겐지
  • 구로사와 아키라

인도

  • 사티야지트 레이
  • 리트윅 가탁
  • 므리날 센

작가주의의 이론적 발전

구조주의적 전환

1960년대 후반, 작가주의는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아 변화했다.

피터 월렌의 구조적 작가주의

  • 작가를 구조로 파악
  • 텍스트 내 대립항 분석
  • 무의식적 패턴 추적

예시: 하워드 혹스 분석

  • 모험/코미디의 대립
  • 남성/여성의 역할
  • 프로/아마추어의 갈등

포스트구조주의적 비판

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

  • 텍스트의 자율성
  • 독자의 능동적 역할
  • 의미의 다중성

미셸 푸코의 "저자란 무엇인가?"

  • 저자 기능의 역사성
  • 담론적 구성물로서의 저자
  • 권력과 지식의 관계

작가주의의 영향과 유산

영화 제작에 미친 영향

감독의 지위 향상

  • 최종 편집권(Final Cut)
  • 창작적 통제권
  • 스타 감독의 등장

개인 영화의 확산

  • 독립영화 운동
  • 저예산 제작 방식
  • 개인적 비전의 추구

영화 비평의 변화

감독 중심 비평

  • 작품론에서 작가론으로
  • 스타일 분석의 정교화
  • 테마와 모티프 추적

영화사 서술의 재편

  • 감독별 영화사
  • 국가별 작가 연구
  • 장르와 작가의 관계

작가주의의 현대적 의미

디지털 시대의 작가성

새로운 도전

  • 집단 창작의 증가
  • CGI와 포스트프로덕션
  • 프랜차이즈 영화
  • 스트리밍 플랫폼

새로운 형태

  • 쇼러너의 부상
  • 트랜스미디어 작가
  • 유튜브 크리에이터
  • 게임 디자이너

글로벌 작가주의

월드 시네마

  • 국제영화제 서킷
  • 다국적 공동제작
  • 문화적 혼종성

새로운 작가들

  • 봉준호 (한국)
  • 알폰소 쿠아론 (멕시코)
  • 크리스토퍼 놀란 (영국/미국)
  • 드니 빌뇌브 (캐나다)

결론: 작가주의의 지속과 변형

작가주의는 단순한 비평 이론을 넘어 영화를 보고 만드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트뤼포와 동료들이 시작한 이 운동은:

영화의 지위를 향상시켰다

  • 대중 오락에서 예술로
  • 장인에서 예술가로
  • 상품에서 작품으로

창작의 자유를 확대했다

  • 개인적 표현의 정당성
  • 실험과 혁신의 장려
  • 독립적 제작 방식

비평의 깊이를 더했다

  • 작품 분석의 체계화
  • 영화사의 재구성
  • 이론적 담론의 발전

"영화 작가는 펜 대신 카메라로 쓴다." 알렉상드르 아스트뤼크의 이 은유는 여전히 유효하다. 기술이 변하고 제작 환경이 달라져도, 개인의 창조적 비전을 영화로 구현하려는 열망은 계속된다. 작가주의는 그 열망에 이론적 정당성과 실천적 방향을 제시한 영화사의 결정적 전환점이었다.

21세기에도 작가주의의 정신은 새로운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넷플릭스의 "A Film by..." 같은 마케팅 전략에서부터 칸 영화제의 감독 중심 프로그래밍까지, 작가주의의 유산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영화가 존재하는 한, 그것을 개인의 창조적 표현으로 보려는 시각도 계속될 것이다.

728x90
반응형